부동산

경매 vs 공매,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

우주님 2025. 2. 24. 20:00

 

 

 

부동산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경매와 공매.

둘 다 부동산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절차와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매와 공매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어떤 경우에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경매와 공매의 기본 개념

🔹 경매란?

경매는 법원이 채무자의 부동산을 강제적으로 매각하는 절차입니다.

주로 대출을 갚지 못한 채무자의 부동산이 압류되어 경매로 나오게 됩니다.

법원에서 진행하는 법원경매가 대표적입니다.

 

경매의 주요 특징

  • 법원이 주관하며, 일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됨
  • 감정평가를 거쳐 경매 시작가(감정가)가 결정됨
  • 일반인이 참여 가능하며, 입찰을 통해 낙찰자를 선정함
  • 입찰가의 10%를 보증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낙찰 후 일정 기간 내에 잔금 지급

 

🔹 공매란?

공매는 국가나 공공기관이 소유한 부동산을 매각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진행하는 온비드 공매가 있습니다.

 

공매의 주요 특징

  • 국세 체납, 공공기관 소유 부동산, 압류 재산 등이 대상
  • 법원이 아닌 공공기관에서 진행
  • 감정평가 없이 시장 가격을 반영하여 매각가가 책정됨
  • 입찰가의 5%~10%를 보증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낙찰 후 잔금 지급

 


 

경매와 공매의 차이점 비교

구분 경매 공매
주관 기관 법원 공공기관 (캠코, LH 등)
진행 방식 감정평가후 법원이 최저가 책정 공공기관이 직접 매각 가격 설정
입찰 방식 최저가 이상 최고가 입찰자 선정 공고된 가격에 맞춰 응찰
보증금 낙찰가의 10% 5~10% (기관별 상이)
낙찰 후 잔금 납부 일반적으로 60일 내 납부 기관별 상이 (30~90일)
점유자 문제 기존 세입자 또는 점유자 있을 가능성 높음 대부분 명도 완료 상태

 


어떤 경우에 유리할까?

경매가 유리한 경우

  1.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하고 싶은 경우
    • 감정가 대비 낮은 가격에서 시작하므로 경쟁이 적다면 시세보다 저렴하게 낙찰 가능
  2. 전문적인 분석이 가능할 경우
    • 권리 분석을 통해 유리한 물건을 찾을 수 있음
  3. 부동산 투자 경험이 있는 경우
    • 명도 절차나 세입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

공매가 유리한 경우

  1. 절차가 간단한 것을 선호하는 경우
    • 법원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온비드)에서 간편하게 진행
  2. 명도 문제를 피하고 싶은 경우
    • 공매 물건은 대부분 점유자가 없거나 명도가 완료된 상태
  3. 국공유지나 정부 소유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경우
    • 캠코, LH 등에서 진행하는 공매 물건은 일반 경매보다 신뢰도가 높음

 


 

경매와 공매의 리스크

경매 리스크

  • 권리 분석 필요: 근저당권, 가처분, 법적 문제 등 확인 필수
  • 점유자 문제: 세입자나 소유자의 명도 협의 필요
  • 낙찰 후 대출 어려움: 일반 부동산 매매보다 대출이 까다로울 수 있음

공매 리스크

  • 감정가 책정 방식: 감정평가 없이 시장 가격 반영, 가성비가 떨어질 수 있음
  • 즉시 계약 필요: 낙찰 후 계약을 철회하기 어려움
  • 공고 내용 확인 필수: 온비드 공매는 법원 경매보다 정보가 부족할 수 있음

 


 

경매 vs. 공매, 어떤 것이 나에게 맞을까?

부동산 경매와 공매는 각기 다른 장단점이 있으며, 투자자의 성향과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경매는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법적 분석과 명도 절차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공매는 절차가 간단하고 안정적인 물건이 많지만, 가격이 시세와 비슷하거나 높은 경우도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초보자는 공매부터 시작하는 것이 부담이 적고, 경매는 경험을 쌓은 후 도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충분한 공부와 시장 조사가 성공적인 부동산 투자의 핵심입니다. 😊